광섬유 복합재료내에 직접적으로 삽입되어서 손상검출 혹은 건정성감시를 할 수 있는 지능형 구조물을 제작하는데 유용한 센서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광섬유의 직경은 복합재료 강화섬유의 직경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삽입된 광섬유가 주재료의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삽입된 광섬유센서가 직교적층판의 대표적인 파괴양상인 횡방향 균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삽입된 광섬유를 가지는 직교적층판의 균열간격은 삽입된 광섬유의 존재를 고려한 수정된 shear-lag 해석을 통해 예측되었고 인장실험을 통한 실험값과 비교되었다. 삽입된 광섬유의 방향과 수량에 따른 영향도 평가 되었고 광섬유 코팅의 유무에 따른 영향도 고찰되었다. 시편은 횡방향 균열(transverse crack), 층간분리(delamination), 분할(splitting), 레이저 신호의 누출(bleeding of laser signal) 등의 손상의 발생여부와 진전상황등을 직접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투명한 유리섬유에폭시 프리프레그로 제작되었다. 삽입된 광섬유의 체적함유율이 작을 때는 광섬유가 횡방향 균열간격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따. 그러나, 광섬유가 삽입된 시편은 광섬유를 삽입하지 않은 시편보다 약간 낮은 응력레벨에서 균열이 발생하였고 같은 응력레벨에서는 더 작은 균열간격을 보였다. shear-lag 해석을 통해 예측한 이론적인 균열간격은 실험값과 잘 일치 하였다. 광섬유의 방향과 코팅의 유무도 균열 간격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광섬유 복합재료내에 직접적으로 삽입되어서 손상검출 혹은 건정성감시를 할 수 있는 지능형 구조물을 제작하는데 유용한 센서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광섬유의 직경은 복합재료 강화섬유의 직경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삽입된 광섬유가 주재료의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삽입된 광섬유센서가 직교적층판의 대표적인 파괴양상인 횡방향 균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삽입된 광섬유를 가지는 직교적층판의 균열간격은 삽입된 광섬유의 존재를 고려한 수정된 shear-lag 해석을 통해 예측되었고 인장실험을 통한 실험값과 비교되었다. 삽입된 광섬유의 방향과 수량에 따른 영향도 평가 되었고 광섬유 코팅의 유무에 따른 영향도 고찰되었다. 시편은 횡방향 균열(transverse crack), 층간분리(delamination), 분할(splitting), 레이저 신호의 누출(bleeding of laser signal) 등의 손상의 발생여부와 진전상황등을 직접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투명한 유리섬유에폭시 프리프레그로 제작되었다. 삽입된 광섬유의 체적함유율이 작을 때는 광섬유가 횡방향 균열간격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따. 그러나, 광섬유가 삽입된 시편은 광섬유를 삽입하지 않은 시편보다 약간 낮은 응력레벨에서 균열이 발생하였고 같은 응력레벨에서는 더 작은 균열간격을 보였다. shear-lag 해석을 통해 예측한 이론적인 균열간격은 실험값과 잘 일치 하였다. 광섬유의 방향과 코팅의 유무도 균열 간격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