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강도계 탄소섬유를 3차원으로 직조하여 프리폼을 제작하고 석탄계 원료핏치를 결합재로 사용하여 가압 함침 탄화(PIC)공정과 흑연화 공정을 통하여 고밀도화된 3차원 탄소/탄소 복합재 (3D-CFRC)를 제조하였다. 석탄계 원료핏치를 650˚C에서 100kg/㎠의 압력으로 열처리 한 결과, 87,4%정도의 높은 수율이 나타났다. 고밀도화에 따른 밀도변화를 측정한 결과 중간 흑연화 처리한 경우 1.760g/㎤, 중간 흑연화 처리하지 않은 경우 1.678g/㎤로 나타났다. 3D-CFRC는 기하학적으로 닫힌 기공을 형성하였지만, 가압 함침 및 탄화공정과 흑연화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이 기공들이 충분히 채워졌으며 이러한 현상은 광학 현미경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X-Y축 보강방향이 Z축 보강방향보다 열팽창계수는 낮게 나타났다. 굴곡강도는 X-Y축 보강방향에서 48.9MPa인 반면 Z축 보강방향에서는 124.5MPa로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굴곡탄성률 역시 같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고강도계 탄소섬유를 3차원으로 직조하여 프리폼을 제작하고 석탄계 원료핏치를 결합재로 사용하여 가압 함침 탄화(PIC)공정과 흑연화 공정을 통하여 고밀도화된 3차원 탄소/탄소 복합재 (3D-CFRC)를 제조하였다. 석탄계 원료핏치를 650˚C에서 100kg/㎠의 압력으로 열처리 한 결과, 87,4%정도의 높은 수율이 나타났다. 고밀도화에 따른 밀도변화를 측정한 결과 중간 흑연화 처리한 경우 1.760g/㎤, 중간 흑연화 처리하지 않은 경우 1.678g/㎤로 나타났다. 3D-CFRC는 기하학적으로 닫힌 기공을 형성하였지만, 가압 함침 및 탄화공정과 흑연화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이 기공들이 충분히 채워졌으며 이러한 현상은 광학 현미경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X-Y축 보강방향이 Z축 보강방향보다 열팽창계수는 낮게 나타났다. 굴곡강도는 X-Y축 보강방향에서 48.9MPa인 반면 Z축 보강방향에서는 124.5MPa로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굴곡탄성률 역시 같은 양상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