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ohoon Choi*, Wooseok Ji*†
* School of Mechanical, Aerospace and Nuclear Engineering, Ulsan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School of Mechanical, Aerospace and Nuclear Engineering, Ulsan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최수훈* · 지우석*†
Stress distributions dependent on fiber arrangements
are studied using the two-dimensional representative volume element (RVE) model
for uni-directionally continuous fiber-reinforced composites subjected to
transverse tensile loading. It is easily expected that the stresses around the
fibers are concentrated mainly due to the stiffness mismatch between the fiber
and matrix materials. In this presentation, it is shown that the stresses are
not always increased although the distance between two fibers is shortened. The
2D RVE models, originally having a regular hexagonal fiber array, is utilized
to study the effect of the fiber locations on the stress distributions. As the
central fiber is relocated, the stress distributions around the fiber are
obtained through finite element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stresses around
the fiber are strongly dependent on the fiber distance as well as the angle
between the loading direction and the line connecting two fibers
단방향 연속 섬유 강화 복합소재에 대하여 섬유 배열에 따른 응력 분포 양상을 연구하기 위해 단면 형상을
대표하는 체적 요소를 생성하였다. 대표 체적 요소에 횡방향 하중을 가하였을 때, 섬유와 기지재 강성의 차이로 인해 섬유 둘레에서 응력 집중 현상이 발생하며,
섬유 간 좁은 간격 때문에 집중된 응력이 중첩되며 섬유 주변에서 높은 응력이 구해질 것이라 쉽게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섬유 둘레 응력 증감이 단순히 섬유 간 간격 뿐 아니라 섬유의 상대적 위치가 하중 방향과 이루는
각도에 의해서도 결정됨을 보여준다. 정규 육각 구조를 가지는 대표 체적 요소의 중앙에 위치한 섬유를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횡방향 하중을 가하여, 섬유 주변 응력이 증가하거나감소하는 양상을 유한요소해석
기법을 이용해 측정하였다. 섬유 간 거리가 최소이면서 두 섬유의 중심을 잇는 선분의 방향이 하중 방향과
일치할 때 응력이 최대로 증가하였으며, 섬유 간 거리가 최소라 하더라도 하중 방향에 수직일 때 최대
응력은 오히려 감소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Keywords: 미시 구조 해석(Microstructure analysis), 섬유 배열(Fiber arrangement), 응력 분포(Stress distribution), 대표 체적 요소(Representative volume element)
2020; 33(1): 30-37
Published on Feb 28, 2020
*† School of Mechanical, Aerospace and Nuclear Engineering, Ulsan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